진료예약
의학상담
· 진료 일정으로 인해 답변이 지연될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본 게시판의 성격, 의도와 맞지 않은 게시글은 비공개상담 게시판으로 이동됩니다.
[영상검사 (MRI,초음파 등)]
뇌 MRI 관련하여 마지막으로 여쭤보고 싶습니다.
노석진 | 2024.05.23
안녕하세요. 본원에서 5/7 화요일에 검사 받은 노석진이라고 합니다. 먼저 제 질문에 대하여 5/13 에 성실한 답변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드립니다. 다만 제가 당시 여쭤보았던 3번 질문의 질의 응답에 대하여 몇 가지 궁금증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또한, 제가 곧 대학병원 급의 상급종합병원에 방문할 예정인데, 대학병원 교수님께 구체적으로 제가 어떠한 것들이 궁금한지를 여쭤보려면, 먼저 제가 놓여있는 문제상황에 대해서 제대로 인지하고 여쭤보는 것이 맞다고 판단되어 이렇게 여쭤봅니다. 아래는 제가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3번 질문 및 답변의 전문입니다.
3. 질문 : 1번에서 설명드렸듯 제 신발 안에는 여러 알갱이들이 많은 상태였는데요. 제가 일부러 이를 의식하고 검사에 차질이 생길까 우려되어 검사 전에 제 신발을 mri 실 밖에다 두고 병원용 슬리퍼를 신고 검사실에 들어갔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검사를 끝마치고 기계에서 내려올 때는 제 신발을 신고 내려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따라서 혹시 제가 검사에 들어갈 때, 간호사 선생님이나 의사 선생님께서 제 신발을 mri 실에 같이 들고 들어오셔서 검사실 안 바닥에 내려놓았던 것이였는지도 궁금합니다. 정말 무리한 부탁드려 죄송하지만, 5월 7일 오후 4시 55분 경 제가 mri 실에 들어갈때, 그리고 mri 검사를 하는 동안, 제 신발이 mri 실 밖에 잘 위치해있었는지를 cctv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답변 : MRI실 또는 조정실 부근은 자기장의 영향으로 장비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어 CCTV를 비치하지 않습니다. CCTV는 대기실에 있어서 이는 확인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또한 설사 신발이 MRI실에 있다 하더라고 MRI 기계 내부가 아닌 외부에 금속물질이 MRI 자기장에 영향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영향이 있다하면 금속물질이 MRI에 붙었겠죠~?
위의 답변에 대하여 제가 생겼던 궁금증은,
1. CCTV 가 의사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MRI 검사실 밖인 MRI 검사 대기실에 위치해있고,
저 역시 MRI 검사 대기실에 제 신발을 벗어두었었기에, 검사하는 동안에 MRI 대기실에 제 신발이 잘 위치해있었는지를 보고 싶다는 것이었는데, 이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대학병원에 가서 당시 검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림에 있어서 제 신발이 MRI 검사실 외부에 위치해있었는지, 혹은 MRI 검사실 내부에 위치해있었는지를 정확히 인지를 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고, 이 사실여부에 따라 재검사의 여부도 결정되는 사안이라고 생각되기에 답변 부탁드립니다.
2. 1번 질문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만약 제 신발이 MRI 실 안에 비치되어 있었다면, 제가 항상 구겨신어왔던 신발 안에 있던 여러 금속 알갱이들 및 물질들이 말씀하신대로 MRI에 붙었거나, 빨려들어갔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영향이 있다하면 금속물질이 MRI에 붙었겠죠~?“ 라는 선생님의 마지막말에 대한 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며, 만약 MRI 기계에 제 신발 속에 있던 금속물질들이 붙었으면 어떻게 되는건지, 또 애시당초 그런 물질들이 안붙었다고 확신하시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또한, 그러한 금속물질의 알갱이들이 MRI 기계 외부에 붙는 것이 아닌 MRI 기계 내부에 강자기장에 의해 검사 시작과 동시에 빨려들어갔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랬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가요?
저는 평소 신발을 항상 구겨신고, 따로 털지도 않습니다. 그렇기에 결국, 도로나 인도에 있는 여러 영문 모를 금속 알갱이들과 공업 잔해들이 들어가있었던 제 신발이, 검사하는 동안 MRI 실 내부에 위치해있었는지 외부에 위치해있었는지가 중요한 사안인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검사에 차질이 생겼을 수가 있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3차 병원에 가더라도 이를 확실히 인지하고 가야 이에 대한 질문과 향후 대책 마련에 있어서 용이해질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3. 질문 : 1번에서 설명드렸듯 제 신발 안에는 여러 알갱이들이 많은 상태였는데요. 제가 일부러 이를 의식하고 검사에 차질이 생길까 우려되어 검사 전에 제 신발을 mri 실 밖에다 두고 병원용 슬리퍼를 신고 검사실에 들어갔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검사를 끝마치고 기계에서 내려올 때는 제 신발을 신고 내려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따라서 혹시 제가 검사에 들어갈 때, 간호사 선생님이나 의사 선생님께서 제 신발을 mri 실에 같이 들고 들어오셔서 검사실 안 바닥에 내려놓았던 것이였는지도 궁금합니다. 정말 무리한 부탁드려 죄송하지만, 5월 7일 오후 4시 55분 경 제가 mri 실에 들어갈때, 그리고 mri 검사를 하는 동안, 제 신발이 mri 실 밖에 잘 위치해있었는지를 cctv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답변 : MRI실 또는 조정실 부근은 자기장의 영향으로 장비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어 CCTV를 비치하지 않습니다. CCTV는 대기실에 있어서 이는 확인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또한 설사 신발이 MRI실에 있다 하더라고 MRI 기계 내부가 아닌 외부에 금속물질이 MRI 자기장에 영향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영향이 있다하면 금속물질이 MRI에 붙었겠죠~?
위의 답변에 대하여 제가 생겼던 궁금증은,
1. CCTV 가 의사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MRI 검사실 밖인 MRI 검사 대기실에 위치해있고,
저 역시 MRI 검사 대기실에 제 신발을 벗어두었었기에, 검사하는 동안에 MRI 대기실에 제 신발이 잘 위치해있었는지를 보고 싶다는 것이었는데, 이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대학병원에 가서 당시 검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림에 있어서 제 신발이 MRI 검사실 외부에 위치해있었는지, 혹은 MRI 검사실 내부에 위치해있었는지를 정확히 인지를 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고, 이 사실여부에 따라 재검사의 여부도 결정되는 사안이라고 생각되기에 답변 부탁드립니다.
2. 1번 질문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만약 제 신발이 MRI 실 안에 비치되어 있었다면, 제가 항상 구겨신어왔던 신발 안에 있던 여러 금속 알갱이들 및 물질들이 말씀하신대로 MRI에 붙었거나, 빨려들어갔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영향이 있다하면 금속물질이 MRI에 붙었겠죠~?“ 라는 선생님의 마지막말에 대한 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며, 만약 MRI 기계에 제 신발 속에 있던 금속물질들이 붙었으면 어떻게 되는건지, 또 애시당초 그런 물질들이 안붙었다고 확신하시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또한, 그러한 금속물질의 알갱이들이 MRI 기계 외부에 붙는 것이 아닌 MRI 기계 내부에 강자기장에 의해 검사 시작과 동시에 빨려들어갔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랬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가요?
저는 평소 신발을 항상 구겨신고, 따로 털지도 않습니다. 그렇기에 결국, 도로나 인도에 있는 여러 영문 모를 금속 알갱이들과 공업 잔해들이 들어가있었던 제 신발이, 검사하는 동안 MRI 실 내부에 위치해있었는지 외부에 위치해있었는지가 중요한 사안인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검사에 차질이 생겼을 수가 있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3차 병원에 가더라도 이를 확실히 인지하고 가야 이에 대한 질문과 향후 대책 마련에 있어서 용이해질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88의원 정혜두 원장이 답변드립니다.
위의 답변에 대하여 제가 생겼던 궁금증은,
1. CCTV 가 의사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MRI 검사실 밖인 MRI 검사 대기실에 위치해있고,
저 역시 MRI 검사 대기실에 제 신발을 벗어두었었기에, 검사하는 동안에 MRI 대기실에 제 신발이 잘 위치해있었는지를 보고 싶다는 것이었는데, 이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대학병원에 가서 당시 검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림에 있어서 제 신발이 MRI 검사실 외부에 위치해있었는지, 혹은 MRI 검사실 내부에 위치해있었는지를 정확히 인지를 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고, 이 사실여부에 따라 재검사의 여부도 결정되는 사안이라고 생각되기에 답변 부탁드립니다.
-> 아마도 신발을 벗었다면 대기실이 아니라 조정실 (MRI 문앞)이었을거고 이 위치는 MRI실 내부가 아닌 외부이며 이 위치를 비추는 CCTV는 없습니다.
CCTV의 목적은 방범을 위해 설치되어 있고 비추는 위치도 또한 자동문 쪽과 입구들을 비추고 있습니다.
2. 1번 질문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만약 제 신발이 MRI 실 안에 비치되어 있었다면, 제가 항상 구겨신어왔던 신발 안에 있던 여러 금속 알갱이들 및 물질들이 말씀하신대로 MRI에 붙었거나, 빨려들어갔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영향이 있다하면 금속물질이 MRI에 붙었겠죠~?“ 라는 선생님의 마지막말에 대한 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며, 만약 MRI 기계에 제 신발 속에 있던 금속물질들이 붙었으면 어떻게 되는건지, 또 애시당초 그런 물질들이 안붙었다고 확신하시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또한, 그러한 금속물질의 알갱이들이 MRI 기계 외부에 붙는 것이 아닌 MRI 기계 내부에 강자기장에 의해 검사 시작과 동시에 빨려들어갔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랬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가요?
-> 이 부분은 금속이 MR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를 잘못하고 계시는 부분인 듯합니다. MRI의 자석들은 갠트리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헬륨가스 충전이 되어 있는 상태로 밀폐되어 있어 금속알갱이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없습니다.
금속이 MRI에 영향을 준다고는 하지만 보여야할 병변이 보이지 않는 형태로 나타나는게 아니라, 금속에 의해 MRI 자기장의 왜곡이 생기면서 이상한 선이나 음영등이 나타나는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제가 따로 구글 검색해서 움직임 인공음영 (motion artifact) 금속에 의한 인공 음영 (metal artifact) 사진을 보여 드렸습니다. 다시 구글에서 metal artifact로 검색하고 이미지들을 한번씩 보신다면 인공음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아실듯합니다.
몇 번 얘기드리지만 어떤 형태로든 영상에 영향이 발생했다면 깨끗한 뇌 영상이 아닌 이상한 선들/음영들이 보이게 됩니다. 지금까지 촬영한 영상을 다시 비교해 보신다면 이전에 찍었던 영상과 최근에 찍었던 영상들 모두 인공음영 없이 깨끗하게 나온것을 확인할 수 있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위의 답변에 대하여 제가 생겼던 궁금증은,
1. CCTV 가 의사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MRI 검사실 밖인 MRI 검사 대기실에 위치해있고,
저 역시 MRI 검사 대기실에 제 신발을 벗어두었었기에, 검사하는 동안에 MRI 대기실에 제 신발이 잘 위치해있었는지를 보고 싶다는 것이었는데, 이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대학병원에 가서 당시 검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림에 있어서 제 신발이 MRI 검사실 외부에 위치해있었는지, 혹은 MRI 검사실 내부에 위치해있었는지를 정확히 인지를 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고, 이 사실여부에 따라 재검사의 여부도 결정되는 사안이라고 생각되기에 답변 부탁드립니다.
-> 아마도 신발을 벗었다면 대기실이 아니라 조정실 (MRI 문앞)이었을거고 이 위치는 MRI실 내부가 아닌 외부이며 이 위치를 비추는 CCTV는 없습니다.
CCTV의 목적은 방범을 위해 설치되어 있고 비추는 위치도 또한 자동문 쪽과 입구들을 비추고 있습니다.
2. 1번 질문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만약 제 신발이 MRI 실 안에 비치되어 있었다면, 제가 항상 구겨신어왔던 신발 안에 있던 여러 금속 알갱이들 및 물질들이 말씀하신대로 MRI에 붙었거나, 빨려들어갔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영향이 있다하면 금속물질이 MRI에 붙었겠죠~?“ 라는 선생님의 마지막말에 대한 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며, 만약 MRI 기계에 제 신발 속에 있던 금속물질들이 붙었으면 어떻게 되는건지, 또 애시당초 그런 물질들이 안붙었다고 확신하시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또한, 그러한 금속물질의 알갱이들이 MRI 기계 외부에 붙는 것이 아닌 MRI 기계 내부에 강자기장에 의해 검사 시작과 동시에 빨려들어갔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랬다면 보였어야할 뇌종양이 안보였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인가요?
-> 이 부분은 금속이 MR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를 잘못하고 계시는 부분인 듯합니다. MRI의 자석들은 갠트리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헬륨가스 충전이 되어 있는 상태로 밀폐되어 있어 금속알갱이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없습니다.
금속이 MRI에 영향을 준다고는 하지만 보여야할 병변이 보이지 않는 형태로 나타나는게 아니라, 금속에 의해 MRI 자기장의 왜곡이 생기면서 이상한 선이나 음영등이 나타나는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제가 따로 구글 검색해서 움직임 인공음영 (motion artifact) 금속에 의한 인공 음영 (metal artifact) 사진을 보여 드렸습니다. 다시 구글에서 metal artifact로 검색하고 이미지들을 한번씩 보신다면 인공음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아실듯합니다.
몇 번 얘기드리지만 어떤 형태로든 영상에 영향이 발생했다면 깨끗한 뇌 영상이 아닌 이상한 선들/음영들이 보이게 됩니다. 지금까지 촬영한 영상을 다시 비교해 보신다면 이전에 찍었던 영상과 최근에 찍었던 영상들 모두 인공음영 없이 깨끗하게 나온것을 확인할 수 있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